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는 한국의 전통 명절이며 정월의 보름날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예전에는 설날보다 더 성대하게 지냈다고 하는데 정월대보름 음식으로 오곡밥, 부럼 취나물과 같은 묵은 나물들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소원을 빌며 액운을 막는 날이었습니다. 다양한 행사와 놀이를 했다고 하는데 이 풍속들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은데 설 연휴가 불과 15일 전이라 묻혀 버렸습니다. 여기에서는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풍속, 음식, 놀이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래와 풍습
정월 대보름과 관련된 전설 중에는 소지왕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는 <삼국유사> 제1편에 나온다고 하는데 신라 시대에 소지 마립간이 정월 대보름에 궁을 나섰는데 까마귀와 쥐가 나타나 시끄럽게 울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쥐가 사람의 말을 하며 이 까마귀를 따라가 보라고 했는데 임금대신 신하가 따라가 보았는데 연못에서 돼지 두 마리가 싸움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연못에서 노인이 나타나 봉투를 주고는 봉투 안의 글을 읽으면 두 사람이 죽고,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고 했는데 신하는 봉투를 가지고 임금에게 가서 노인의 말을 전했습니다. 임금은 두사람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해 편지를 읽지 않았는데 옆에서 신하가 설득하는 바람에 편지를 읽었습니다. 그 신하가 두 사람이라는 것은 보통 사람을 말하고 한 사람이라는 것은 임금을 가리킨다고 해서 왕이 봉투를 열어보니 거문고 갑을 쏘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임금이 거문고 갑을 쏘고 난 다음 열어보니 거기에 두 사람이 활에 맞아 죽어 있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왕비와 중이었는데 임금을 해치려고 했었습니다. 그 후로 목숨을 건진 왕이 정월대보름에 찰밥을 준비해 고마움의 뜻으로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생겼습니다.
올해 첫 달의 가장 큰 보름이라는 정월대보름의 전통 풍습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데 과거의 세시풍속들 중에는 재미있는 것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대보름 전날 밤에는 아이들이 밥을 얻으러 다녔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했기 때문에 졸음을 참았습니다. 잠든 아이들 눈썹에는 어른들이 몰래 쌀가루나 밀가루를 발라 놀려주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새벽에는 닭이 우는 것을 기다려 우물에 가서 물을 떠 왔는데 이는 집안에 복을 불러온다고 믿었습니다. 물을 제일 먼저 떠 온 사람이 그해의 농사를 잘 짓는다는 속설이 있었고, 개는 하루 굶기면 여름철에 파리가 꼬이고 말라가는 것을 막는다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개 보름 쇠듯'이라는 속담이 생겨났는데 이는 명절이나 잔칫날을 즐기지 못하게 된 사람을 일컫습니다.
음식
부럼 깨기는 껍질이 딱딱한 호두, 밤, 땅콩을 14일 밤에 깨끗하게 씻어 준비해 두었다가 정월대보름 아침에 먹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부럼을 깨는 이유는 이렇게 하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단단해진다고 믿었습니다.
정월대보름에는 찹쌀, 조, 수수, 팥, 콩등 다섯 가지 곡물을 넣어 지은 밥을 먹었습니다.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던 곡식들을 한데 모아 보니 다섯 가지였다는 데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는 풍년을 기원하고 한 해 동안 부지런하게 일을 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각종 채소를 말려둔 것을 묵은 나물이라고 하는데 이를 정월대보름에 삶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보통 박, 버섯, 콩, 무잎, 가지껍질 등을 가리키고 지역에 따라 나물의 종류는 달라집니다. 묵은 나물을 먹는다는 것은 겨울에 먹을 것이 풍족하지 않으니 미리 음식을 저장하고 마련해 두는 생활습관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정월대보름 아침에 부럼을 깨면서 함께 마시는 술이 귀밝이술이었습니다. 이명주라고도 하는데 이 술을 마시면 귓병이 생기지 않고 귀가 더 밝아진다고 하여 아이들도 한잔씩 마셨습니다.
놀이
달맞이: 정월대보름에는 초저녁이 되면 대보름 달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때 보름달이 뜨면 소원을 빌고 달빛을 보며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액막이 연 날리기: 정월대보름에는 액막이 연이라 하여 연을 날리다가 줄을 끊어 멀리 날아가게 했었습니다. 이는 액운을 멀리 날려 보내고 한 해의 복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쥐불놀이: 정월대보름 전날에 논둑에서 마른 쑥을 뭉쳐서 불을 붙이고는 빙빙 돌리고 노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액운과 재앙을 태워주는 염원을 담았다고 하는데 놀고 난 다음에는 논두렁에 던져 잡초를 태워 해충을 박멸하고 재를 거름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달집 태우기: 요즘도 지자체 별로 하는 행사 중 하나로 쥐불놀이보다 스케일이 크고 짚단과 나뭇가지를 무더기로 쌓아 올려 불을 태우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달집이 잘 타오를수록 풍년이라는 소망을 기원하는 것이었습니다.
줄다리기: 가을에 거둬들인 벼에 곡식을 털어내고 남은 줄기를 모아 매우 두꺼운 줄을 만들어 남녀노소 모두 참가해 줄다리기를 하였습니다. 줄다리기가 끝난 후 줄을 썰어 논에 거름으로 사용했다고 하는데 이는 농작물이 병에 들지 않도록 풍년을 기원한 것이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란드 셋방살이]핀란드 사우나와 링곤베리 (0) | 2025.02.25 |
---|---|
독감후유증 기침과 가래완화를 위한 면역력 높이기 (0) | 2025.02.24 |
매화꽃 볼수있는 추천지- 순매원과 통도사 (1) | 2025.02.24 |
[함양]지리산 조망공원과 카페 오도재 (1) | 2025.02.22 |
에센셜 오일 고르는법과 사용하는 방법 (2)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