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자허토르테의 탄생배경과 법적공방, 맛볼 수 있는 곳

by 라이프 리뷰 2025. 2. 25.

자허토르테는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왕실 케이크입니다.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랑받고 있는 초콜릿 케이크로 오랜 전통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휘핑크림을 곁들여 먹는 것이 정석이며 크림이 올라간 카푸치노와 세트메뉴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자허토르테라는 케이크가 탄생하게 된 배경과 케이크를 둘러싼 법적공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에서 자허토르테를 맛볼 수 있는 곳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자허토르테

 

자허토르테의 탄생배경

 

오스트리아는 왕족과 귀족들의 고급스럽고 사치스러운 입맛에 맞는 케이크와 빵 종류를 만들어 낸 나라입니다. 그중에서도 자허토르테는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디저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허토르테는 비엔나 사람 '프란츠 자허'의 이름을 딴 자허(Sacher)에 잼 바른 스펀지케이크를 의미하는 독일어 토르테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자허토르테는 보통 초콜릿 반죽의 구운 스펀지케이크 사이에 살구잼을 바르고 겉면 전체를 초콜릿으로 코팅해 달지 않은 휘핑크림과 함께 곁들여 먹습니다. 초콜릿의 쌉싸름한 맛과 살구잼의 새콤한 맛이 만나 대비되는 풍미를 느낄 수 있는데 전통적으로 촉촉한 생크림이 함께 서빙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1832년 경 오스트리아 외상 메테르니히는 중요한 손님을 모신 자리에 내놓을 케이크가 필요해 그의 직속 요리사에게 디저트를 만들 것을 명령했습니다. 손님의 입맛에 맞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놓자 요리사의 아들인 프란츠 자허가 몸이 아픈 아버지 대신 초콜릿 스펀지케이크를 만들어 냈습니다. 다행히 자허가 내놓은 초콜릿 케이크는 손님으로부터 호평을 받았고 오늘날 자허토르테의 전신이 되었습니다. 그 후로 아들 자허는 '데멜' 제과점에서 수습기간을 거치며 초콜릿과 케이크에 대해 공부해 자허토르테를  완성시켰습니다. 처음 출시가 된 곳은 '데멜'을 통해서였는데 그의 아들 에두아르트가 1896년에 운영하던 카페 위에 호텔을 올리면서 '호텔 자허'에서도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자허토르테를 둘러싼 법적공방 

 

 

1930년대에 에두아르트의 아들 에드문트가 '호텔자허'의 사장이 되었을 때 대공항으로 인한 재정난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때 왕실에 과자류를 진상했던 '데멜' 제과점에서 '호텔 자허'에게 자금 지원을 해주겠다며 자허토르테의 조리법과 판매권을 사갔습니다. '데멜'의 도움을 받은 '호텔자허'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자허토르테의 판매권을 다시 사들이려고 했지만 '데멜'측에서 반발했고 그 후 7여 년 동안을 법정 소송에 휘말리게 됩니다. 양측의 소송은 역사학자와 문헌학자까지 동원되어 '빈 케이크 분쟁'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1962년에 드디어 빈 지방법원에서 판결을 내렸는데 상표명인 자허토르테는 '카페 자허'와 '데멜' 양측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오리지널 자허 토르테라는 명칭은 오직 '카페 자허'만이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비엔나에 자허토르테 맛볼 수 있는 곳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전통 디저트인 자허토르테를 맛볼 수 있는 카페는 3곳이  있다고 합니다.  그곳은 원조격인 '카페자허', '데멜', '카페 센트럴'이라고 합니다. 카페 자허는 호텔자허에 소속되어 있는 카페로 오리지널 자허토르테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멜에서는 데멜의 자허토르테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역사가 무려 200년이라고 합니다. 카페 센트럴은 19세기에 생긴 카페로 젊은 작가와 지식인들이 애정하며 드나들었던 곳인데 실내 인테리어 장식이 궁전에 들어온 것처럼 아름답기로 소문난 곳입니다. '카페자허'쪽이 입안에서 녹는 부드러운 맛이라면 '데멜'쪽은 조금 단단한 느낌이라 초콜릿을 녹여 먹는 데에 시간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시트는 크게 차이는 안 나지만 '카페자허'쪽이 더 단 맛이 나고 시그니처인 살구잼이 더 들어가서 확실한 맛을 준다고 합니다. 카페 센트럴의 자허토르테는 함께 서빙되는 크림의 맛이 인기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