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염은 관절연골이 닳아 퇴행성 변화가 생겨나면서 일어나는 통증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무릎 관절염 환자는 10년 새 1.4배 늘었고 성별비율로 보면 여성이 73%, 남성이 23%로 여성의 비율이 현저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 중에도 60대 여성이 2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는데 무릎 관절염의 증상과 치료,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릎 관절염 증상
무릎 관절염은 관절 주변의 연골이나 근육, 인대가 손상이 되어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무릎이 쑤시고 시린 증상이 나타나며 악화된 상태라면 걷는 것에도 지장이 생깁니다. 이렇게 되면 무릎이 일자로 펴지지 않거나 O자형 다리로 변형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무릎 관절염이 심해지면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계속됩니다. 관절 주변에 붓기가 생기기도 하고 무릎을 펴지 못해 좌식 생활이 불편해집니다. 무릎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고 다리에 변형이 와서 절룩거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무릎 관절염 환자가 늘어나는데 추운 날씨로 인해 관절을 보호하고 윤활역할을 하는 관절액의 점도가 높아져 마찰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온이 내려가 혈관이 수축하면 관절 주변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아 연골로 들어가는 산소와 영양공급이 줄어들어 통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무릎 관절염은 50대 이상의 폐경 여성에게 많이 일어납니다.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관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데 이는 퇴행성 변화를 가속합니다. 그리고 여성의 무릎 주변 근육은 남성보다 약해 관절을 잘 받쳐주는 기능이 떨어져 여성에게 무릎 관절염이 더 빨리 찾아오기 쉽습니다.
무릎 관절염의 치료방법
무릎 관절염 치료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요법, 관절 내시경, 줄기세포 치료, 절골술, 인공관절치환술, 재활치료 등이 있습니다. 무릎 관절염의 통증이 가벼운 경우에는 약물치료, 주사요법, 운동요법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권장하고 가벼운 나들이도 힘드실 만큼 통증이 심하신 분, 일상생활이 불가능하신 분, 방사선 소견으로 연골 통증이 심하신 분 들은 수술이 필요합니다. 무릎 관절염의 주사치료에는 연골주사(히알루론산)가 있는데 관절염 초기와 중기에 아직 연골이 남아 있을 때 맞으면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주사치료는 관절 내 염증을 줄여주고 윤활작용을 개선해 줘서 통증을 줄여주고 있습니다. 주사치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며 1,3,5회용 주사가 있습니다. 무릎 연골주사는 히알루론산이 주성분인데 이것은 우리 몸에 있는 성분입니다.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여러 번, 장기간 맞아도 부작용이나 내성이 거의 없습니다. 이 히알루론산 성분을 무릎관절에 투여하면 윤활작용에 도움을 주어 연골과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관절 간의 마찰을 줄여주니까 손상된 연골이 보호되고 마모가 줄어들어 퇴행성 무릎 관절염 진행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연골주사 치료 시엔 일주일에 한 번씩 맞아 총 3회에 걸쳐 맞으시면 된다고 하고 그 후 6개월 간격으로 또 맞으실 수 있습니다. 효과는 1-2주 후에 나타나며 6개월가량 지속될 수 있습니다. 주사를 맞고 나면 뻐근한 감을 느낄 수 있는데 며칠 내로 좋아지니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무릎 관절염 예방을 위한 관리법
무릎 관절염 치료는 무릎관절 상태에 따라 치료방법이 정해지기 때문에 조기진단이 중요합니다. 평상시에는 체중관리와 적절한 운동을 통해 관리를 해 나가면 좋습니다. 체중이 늘어나면 무릎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운동이 부족하면 관절 주변 조직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염 환자에게는 스쾃이나 런지 같은 운동이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이 심한 경우는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산에서 내려올 때 연골손상의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너무 높은 산은 가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평지 산책은 1시간 내외로 하시고 실내 자전거 타기를 30분에서 1시간 정도 해 주실 것을 권장합니다. 무릎 관절염은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관절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보온패드나 무릎워머를 활용하면 관절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빵의 유래와 비싼 이유, 키토식으로 만드는 방법 (0) | 2025.02.27 |
---|---|
사과의 효능과 공복에 먹을 때 좋은점과 주의할 점 (1) | 2025.02.27 |
자허토르테의 탄생배경과 법적공방, 맛볼 수 있는 곳 (0) | 2025.02.25 |
핀란드 사우나의 특징과 장점, 주의할 점 (0) | 2025.02.25 |
독감후유증의 증상과 기침, 가래의 관리법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