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소금빵의 유래와 비싼 이유, 키토식으로 만드는 방법

by 라이프 리뷰 2025. 2. 27.

소금빵은 단짠단짠의 맛과 바삭하고 쫄깃한 식감 때문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베이커리 카페나 프랜차이즈 카페에서는 빠지지 않고 인기 메뉴로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애정을 가지고 있는 소금빵은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 유래를 살펴보고 비싼 이유와 저탄수화물 레시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금빵

 

소금빵의 유래

 

소금빵은 일본에서 '시오빵'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버터롤 형태의 모양이 제일 많고 빵 표면에 소금을 뿌려 버터의 고소한 풍미를 함께 맛볼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원래 프랑스에서 먹던 소금빵은 식사용으로 바게트 같이 딱딱한 빵을 소금에 찍어 먹었는데 그렇게 특이할 것은 없는 빵이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소금빵의 원조는 일본 에히메현에 위치해 있는 작은 빵 가게 '팡 메종'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96년에 창업해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이 빵 집의 사장 히라타 미코시는 지역 특성상 여름이면 무척 더워져 사람들이 빵을 사지 않자 무슨 빵을 새로 만들어야 할까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2003년 어느 날 고향을 찾은 그의 아들이 요즘 프랑스에서는 빵에 소금을 뿌린 것이 잘 팔린다고 이야기를 했고 사장님은 여기에서 힌트를 얻어 염분도 보충할 수 있는 신제품 소금빵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버터롤은 빵 무게의 10%에 해당되는 버터가 들어가는데 20%를 넣어서 딱딱한 프랑스 빵보다 부드러운 식감을 주는 빵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만드니 굽는 동안 버터가 녹아내려 반죽 안에 공기층(버터홀)이 생기고 밑면은 바삭하게 구워져 쫀득한 식감을 만들어 내게 되었습니다. 이른바 우리에게 인기 있는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식감이 완성되었습니다. 여기에 암염까지 토핑으로 뿌리고 나니 빵 맛은 더 좋아졌습니다. 하지만 소금빵은 외형이 수수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버터롤보다 10엔 (100원) 정도 더 비쌌기 때문에 인기가 없었습니다. 뜻밖에도 어시장 어부들 사이에 입소문이 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한국에서 소금빵이 비싼 이유

 

 

한국의 소비자들은 비싼 소금빵에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습니다. 일본의 원조 소금빵 집에서는 1개당 110엔으로 천 원 정도 하는 가격인데 대량 생산 업체인 프랜차이즈에서 조차도 2천 원 대에 팔리고 있고 개인이 운영하는 유명 빵집에서는 3천 ~ 5천 정도 원까지 가격이 뛰기도 합니다. 이에 제빵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는 물류비와 인건비,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최근에 계속되고 있는 팬데믹, 전쟁, 이상 기후 때문에 원재료의 가격이 상승하긴 했지만 문제는 원재료 가격이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데도 소매가격은 낮춰지지 않는 데 있습니다. 소금빵은 프랑스산 고급 버터와 천일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빵보다 재료비가 더 들어갑니다. 또한 숙성시키고 수작업으로 성형하는 공정이 많아 인건비와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최근에는 SNS와 미디어를 통해 프리미엄 이미지가 형성되어 소비자들이 높은 가격을 수용하는 분위기까지 더해졌습니다. 

 

 

소금빵 키토식으로 만드는 방법

 

소금빵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은데 아몬드 가루나 코코넛 가루를 사용하여 키토식으로 만들면 저탄소금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저탄소금빵 레시피에서는 지방이 풍부하고 탄수화물이 거의 없는 치즈를 사용합니다. 우선 모차렐라 치즈 1컵과 크림치즈 30g을 30초 단위로 전자레인지에서 녹여줍니다. 녹인 치즈에 아몬드 가루 1컵과 베이킹파우더 1작은술, 소금, 계란 1개를 넣고 반죽을 만듭니다. 코코넛 가루 1T는 선택사항인데 식감을 바삭하게 해 줍니다. 이 반죽은 소금빵 4개 분량인데 4 등분하여 삼각형으로 성형하고 가운데 버터 큐브를 넣고 말아 줍니다. 굽기 전 겉면에 버터를 바르고 소금으로 토핑해 180도 오븐에서 20분간 구워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