딤섬은 홍콩과 대만에서 유명한 중화권 음식인데 한국에서도 보편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딤섬 전문 식당이 지역 곳곳에 생겼고 간단하게 먹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주로 애용하고 있습니다. 만두와 비슷하게 생긴 딤섬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고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달라지는 종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딤섬 먹는 법과 만드는 법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딤섬의 유래
딤섬이라는 용어는 당나라 때 처음 생겨났다고 합니다. 과거 중국 남부 지방에서는 원래 아침식사와 저녁식사만 제대로 차려서 먹고 중간 시간대에는 간단한 음식을 먹었다고 합니다. 중국이 하루 세끼를 챙겨 먹게 된 것은 불과 100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신분에 따라 식사의 횟수도 정해져 있었는데 황제와 제후를 제외하고는 하루에 두 끼 밖에 먹지 못했다고 합니다. 딤섬은 이처럼 식사 중간에 간단하게 시장기를 달래려 먹던 음식에서 비롯되었는데 한국의 점심과 한자가 같습니다. 어원의 유래는 광둥어로 점심을 발음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홍콩, 마카오, 대만 등 중화권 남방 일대와 중화권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즐겨 먹는 만두종류를 일컫습니다. 딤섬은 이제 점심식사를 의미하지 않고 고유명사로 사용되어 수백 가지 만두류를 쪄서 먹는 것을 의미합니다. 딤섬은 '마음에 점을 찍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허기진 마음에 점을 찍듯 작은 움싹울 먹어 배고픔을 달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딤섬은 만두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만두는 밀가루로 만든 두꺼운 만두피에 다양한 소를 넣어서 먹는 것이고 딤섬은 쌀가루나 전분, 밀가루로 만든 얇은 피에 소를 넣고 작게 만들어서 먹습니다. 원래는 작게 만들어서 맛보는 간식류에서 시작되었는데 꽤 기름진 음식이다 보니 차와 함께 먹어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딤섬의 종류
딤섬의 종류는 워낙 많아서 들어가는 재료와 조리방법에 따라 수백 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조리방법에 따라서는 둥근 대나무통에 쪄서 나오는 형태가 가장 보편적이고 삶아서 나오는 딤섬도 있고, 구이, 튀김류, 부침, 후식으로 나오는 딤섬도 있습니다. 찜으로 나오는 딤섬 중에 왕만두처럼 껍질이 두껍고 속재료를 말아 싼 종류를 빠오(바우)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돼지고기에 바비큐 소스로 간을 한 차슈 빠오와 상하이식 딤섬인 샤오롱바오가 있습니다. 딤섬의 피를 전분으로 만들어 속이 보이도록 한 종류는 가우라고 하는데 대표적으로 새우가 들어간 하가우가 있습니다. 빠오보다 약간 작으며 윗부분이 뚫려 있어 속이 보이는 딤섬종류는 마이라고 불립니다. 가우처럼 피가 얇지만 위를 터놓은 채로 장식되어 있어 외관상 아름답습니다. 마이는 피의 종류나 색에 따라 다양해지는데 한국인에게 친숙한 것은 노란 계란 반죽으로 만든 노란색의 얇은 피입니다. 대표적으로 다진 돼지고기를 넣어 꽃모양으로 빚고 새우를 넣은 사오마이가 있습니다. 부침으로 만드는 딤섬의 종류에는 창펀이 있습니다. 우리의 전병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는데 쌀반죽으로 만든 것입니다. 딤섬집에서 하가우, 사오마이 등과 함께 주력메뉴의 역할을 하며 속에 들어간 재료에 따라 또 종류가 나뉩니다. 창펀은 반죽을 작게 말아서 간장양념을 뿌려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후식류로 제공되는 딤섬은 커스터드 크림이 들어가 있는 커스터드 번과 쌀과 고기로 만든 케이크 종류가 있습니다.
딤섬 먹는 법과 만드는 법
딤섬 중에 만두피 속에 육즙이 흥건하게 들어가 있는 소룡포, 일명 샤오롱 바오라는 만두가 있습니다. 원래는 상하이식 만두를 일컬었지만 지금은 딤섬의 한 종류로 포함되어 취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샤오롱 바오라는 만두는 맛있게 먹는 방법이 있습니다. 육즙을 먼저 맛보는 게 특징이기 때문에 중국식 스푼 위에 샤오롱 바오를 얹고 피를 약간 찢으셔야 합니다. 육즙이 나오면 먼저 맛을 봅니다. 그 후 흑초에 적셔져 있는 생강채를 몇 점 올려 딤섬을 한 입에 드시면 됩니다. 창펀이라는 딤섬은 집에서 만들어 드실 수도 있습니다. 라이스페이퍼를 물에 적셔 데친 새우와 쪽파를 넣어 돌돌 마시면 됩니다. 간장에 피시소스, 참기름, 생강가루, 물, 설탕을 넣고 끓여 주시면 간장소스가 완성됩니다. 창펀 위에 간장 양념을 뿌려드시면 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떡볶이의 유래와 종류, 다이어트 떡볶이 레시피 (1) | 2025.05.02 |
---|---|
불가마 찜질할 때 좋은 점과 찜질방과의 차이, 주의사항 (1) | 2025.05.02 |
연등을 다는 이유와 연등회의 역사, 연등행렬 볼 수 있는 곳 (0) | 2025.05.01 |
산행의 의미와 안전수칙, 응급상황 생겼을 때 대처법 (0) | 2025.04.30 |
진달래의 전설에 얽힌 민족의 꽃의 효능과 먹는 법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