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단백 두부는 건강에 좋은 식품이고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좋은 단백질 덩어리인 두부가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알아보고 다이어트식으로 왜 좋은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다이어트에 활용할 수 있는 두부요리 레시피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두부의 유래
전해지는 기록에 따르면 두부는 약 2,000년 전 중국 한나라 시대에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두부는 한자어로 콩을 부드럽게 응고시킨 것이라는 뜻입니다. 전설에 의하면 한나라의 왕족인 '유안'이 처음 두부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는 도교와 불로장생에 관심이 많았고 건강한 음식을 연구하던 중에 콩을 으깨서 만든 유즙에 간수를 넣어 굳혔다고 합니다. 또 다른 전설에 의하면 당시 제사나 약용 식품, 스님들의 채식용 단백질 공급원으로 두부가 사용되면서 처음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초기에 두부는 전통방식으로 제조가 되었는데 콩을 불려서 갈고 끓여서 두유를 만들었습니다. 끓인 두유를 여과해서 콩비지와 분리하고 남은 두유에 염화마그네슘인 간수나 식초를 넣어 굳혔습니다. 굳힌 것을 천에 담아 눌러 물을 짜내고 형태를 잡으면 두부가 완성됩니다. 이렇게 탄생된 두부는 불교와 채식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함께 발전했습니다. 이후 동아시아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는데 한국에는 삼국시대 혹은 고려시대에 중국을 통해 유입되었습니다. 불교문화와 함께 전파된 두부는 사찰 음식으로 널리 사용이 됩니다. 일본에는 8세기경 나라시대에 승려를 통해 전래되었는데 그 후로 일본식 두부인 국물을 끼얹은 두부, 튀긴 두부로 발전합니다. 두부는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이 되고 있는데 연두부, 냉두부, 두부피, 유부 등으로 세분화되기도 합니다.
다이어트에 좋은 두부
두부는 100% 식물성 단백질인 콩을 갈아 만든 것으로 고단백 식품이며 칼로리가 100g 당 약 80-100칼로리로 낮습니다. 고기를 먹지 않고 채식을 하는 사람이나 아시아에 있는 다수의 불교 신자들, 다이어트를 하는 중인 사람들에게는 고단백 두부가 아주 좋은 단백질 공급원입니다. 같은 두부라도 단단한 두부의 경우라면 단백질의 함량이 10%가 조금 넘게 들어있어 근육량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함되어 있는데 체지방 축적을 방지해 심혈관 건강을 개선해 줍니다. 여성 호르몬과 유사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체지방을 줄일 수 있고 골다공증을 예방해 줍니다. 두부는 탄수화물 함량이 낮기 때문에 저탄고지 다이어트에 적합한 식재료이며 혈당을 올리지 않는 재료라서 인슐린 분비를 자극시키지 않습니다. 두부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에서도 고기를 대체하는 건강식품으로 인정받으며 토푸(tofu)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두부가 찌개에 들어가는 대표적인 재료로 인식되면서 반찬의 개념이 강하지만 요즘은 두부의 칼로리가 낮고 포만감이 높다는 점 때문에 한 끼 식사로 드시는 분들도 많아졌습니다. 포만감이 좋아도 칼로리가 낮은 식품은 여전히 허기지게 만들지만 고단백 두부는 부피에 비해 칼로리가 낮긴 하지만 어느 정도 열량이 있어서 같은 콩으로 만든 두유보다 단백질은 2배나 많습니다.
두부의 다이어트 활용 레시피
열량이 높은 마요네즈 대신 두부를 활용한 두부 마요네즈 소스를 만드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두부 1모와 올리브유, 꿀, 소금, 레몬즙, 100% 땅콩버터를 준비합니다. 믹서기에 두부를 으깨 넣고, 올리브유와 꿀을 점도가 묽어질 정도로 넣어줍니다. 소금은 두 꼬집, 레몬즙도 넉넉하게 부어 줍니다. 이때 반드시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100% 땅콩버터를 소량만 첨가해서 넣어주시고 믹서기를 돌려주시면 고단백 두부 마요네즈 소스를 완성하실 수 있습니다. 이 소스는 샐러드드레싱으로 사용하셔도 되고 마요네즈 대신 디핑소스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부는 탄수화물 함량이 낮기 때문에 김밥에 밥 대신 넣으실 수도 있습니다. 으깬 두부를 마른 팬에 물기가 없어질 정도로 볶아주면 밥알의 형태가 됩니다. 이것을 김에 깔아 속재료를 넣어 말아주시면 저탄수 레시피가 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눈물의 개념과 종류, 일회용 용기 여는 법 (0) | 2025.03.26 |
---|---|
불면증이 생기는 원인과 증상에 따른 치료하는법 (1) | 2025.03.26 |
초고속 블렌더의 역사와 분쇄력, 세척하는 법 (0) | 2025.03.22 |
저속노화밥의 특징과 식사방법, 식단구성법 (2) | 2025.03.20 |
카야잼의 원료와 추천브랜드, 현지식으로 먹는 법 (1)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