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은 수면장애의 일종으로 수면하는 중에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얕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잠에서 자주 깨다 보니 본인의 일상에서 피로도는 증가하고 주변의 가족들도 시끄럽게 코 고는 소리에 잠을 이루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이 무엇인지 개념을 알아보고 진단을 받는 과정, 치료방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의 개념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기도가 반복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크게 줄어드는 질환입니다. 이는 산소 공급 부족을 일으켜 수면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고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며 이는 기도의 구조적 협착이나 근육 이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증상은 코골이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비만, 짧은 턱, 편도선 비대, 비중격만곡, 목둘레가 굵은 경우가 원인이 됩니다.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은 뇌가 호흡을 지시하지 않아서 생기는 것으로 신경계나 심장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심부전, 뇌질환, 진통제 사용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혼합형 수면무호흡증에 해당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무호흡이 10초 이상 지속되고 한 시간에 5회 이상 발생하면 의학적으로 진단의 대상이 됩니다. 수면 중에 무호흡이 반복되면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심박수, 혈압, 뇌압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것은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뇌졸중 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주간에 졸리고 집중력이 저하되며 두통, 기억력 감퇴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교통사고나 업무능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주로 비만, 음주, 고령, 남성에게서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과정
수면무호흡증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 개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이 경미해도 장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조기 검진이 권장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첫 번째 진단 단계는 초기 평가 및 병력 청취로 진행됩니다. 환자의 주된 증상 중에 심한 코골이, 수면 중 숨 멎음, 주간에 졸리는 현상,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이 있는지 평가받게 됩니다. 전문의는 가족력 및 과거 병력에 바탕을 두고 진단을 내려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배우자나 동반인의 관찰 정보가 중요합니다. 잠자는 중에 무호흡이 몇 번 나타나는지, 얼마나 지속이 되는지, 갑작스러운 뒤척임이 있는지 등을 관찰하여 알려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두 번째 진단 단계는 설문지 평가인데 이를 통하여 진단 전 환자의 증상 및 위험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졸음척도 설문조사는 낮 동안 졸림 정도를 평가하는 것인데 8가지 상황에서 졸음 가능성을 0-3점으로 평가합니다. 10점 까지는 정상이고 12점 까지는 경도, 15점 까지는 중등도, 16점 이상은 수면장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위험도를 평가하는 STOP-BANG 설문지가 있고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베를린 설문지가 있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이비인후과 또는 내과에서 체질량지수, 목둘레, 편도 비대, 비강 구조 이상, 턱 구조 확인 등의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네 번째 단계는 수면다원검사 단계인데 수면무호흡증 진단의 표준 검사입니다. 병원이나 수면센터에서 하룻밤 동안 진행이 되며 호흡의 흐름, 산소포화도, 심전도, 뇌파, 근전도, 안구운동 등의 항목을 측정합니다. 검사 결과로 AHI를 산출하여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합니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이 나오면 치료 필요의 여부가 결정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는 원인, 증상 심각도, 전신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양압기 치료방식은 가장 표준이 되는 치료법으로 중등도에서 중증에 해당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장에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주무실 때 코나 입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일정 압력의 공기를 기도로 보냅니다. 이 방법은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유지해 주며 효과가 탁월해 증상 개선이 빠릅니다. 단점으로 불편함과 건조감 등 적응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구강장치는 경증에서 중등도에 해당하는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사용합니다. 턱을 약간 앞으로 위치시켜 기도를 넓히는 맞춤형 장치입니다. 휴대가 간편하고 소음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시간 사용하면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거나 치아의 위치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만은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위험인자 중 하나인데 체중을 10%만 줄여도 AHI가 20-30% 정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금주, 금연, 규칙적인 수면, 옆으로 자는 자세 유지 등의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해부학적 이상이 뚜렷하거나 기구에 적응을 못하는 경우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마카세의 특징과 종류, 이용하는 방법 (1) | 2025.05.16 |
---|---|
김치의 유래와 특징, 겉절이 김치 담그는 법 (2) | 2025.05.16 |
야끼니꾸의 유래와 특징, 맛있게 먹는 법 (1) | 2025.05.15 |
오름의 개념과 가치, 추천하는 3곳 (1) | 2025.05.14 |
명상의 목적과 효과, 초보를 위한 명상방법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