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보이스 피싱 , 신규 사례와 신고 및 예방

by 라이프 리뷰 2025. 4. 18.

보이스 피싱 사기 피해는 꾸준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그 수법도 새로워지고 다양해져서 피해자들은 속수무책으로 속아 넘어가기 일쑤입니다. 주변의 도움으로 다행히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안타까운 사연이 더 많고 절망에 빠진 피해자는 생을 마감하는 선택까지 하게 됩니다. 신규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만약 피해를 당했을 경우에 신고하는 법과 예방책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사진

 

 

보이스피싱 신규 사례

 

집배원이나 택배기사를 사칭하여 전화를 걸거나 직접 집으로 물건이나 카드를 배송하는 보이스 피싱이 발견되었습니다. 피해자가 카드나 물건을 신청한 적이 없다고 하면 가짜 고객센터 번호로 안내해 금융사기를 치거나 개인정보를 빼돌리는 수법입니다. 사기범들은 원격으로 접속하여 문제를 해결해 주겠다고 유도하여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시키고 있습니다. 악성앱은 휴대폰 내의 모든 접근을 허용하도록 요청합니다. 수락된다면 통화나 문자 내역, 연락처,  전화나 카메라 조작까지 가능해지기 때문에 악용되기 쉽습니다.

 

집에서 간편하게 돈 벌 수 있다는 부업 광고도 신종 보이스 피싱 사기입니다. 부업으로 유인해 놓고 지금 당장 은 할 수없다고 하면서 영상 보고 조회수를 올리면 포인트를 지급하겠다고 합니다. 처음에 포인트가 돈으로 바뀌어 통장으로 들어오게 되면 돈을 내고 미션에 참가하게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내 계좌의 돈을 상당수 잃게 됩니다. 온라인 부업사기는 sns로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어 10대까지도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보이스 피싱 신고하는 방법

 

보이스 피싱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경찰청 112나 금융감독원 1332로 전화신고를 할 수 있고 인터넷 사이트 '보이스피싱지킴이'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은 사기에 이용된 내 계좌를 지급정지 시킵니다. 그러고 나서 가까운 경찰서에 가셔서 피해신고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 내 계좌를 정지시킨 은행에 피해신고확인서, 신분증 사본, 피해구제신청서를 제출합니다.

 

피해구제신청서를 제출하면 금융감독원에서 피해자들의 피해환급금을 결정합니다. 금융감독원의 승인이 나면 금융회사에서 피해자들에게 환급금을 줍니다.

 

악성앱을 다운로드하셨을 때는 단말기를 초기화하고 공동인증서도 새로 발급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명의도용방지서비스에서 본인도 모르게 가입된 것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이스 피싱 사기단에게 휘말려 언쟁을 높이는 등 직접 대응을 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이 받게 됩니다. 그 집단은 우리의 개인정보를 모두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협박할 수 있고 골탕을 먹이는 등 2차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욕설이나 언쟁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지 마시고 기관에 신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이스 피싱 예방법

 

가족이나 지인이 갑작스럽게 돈을 빌려달라고 전화를 걸어온다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서 목소리를 모방한 전화일지 모른다고 의심해봐야 합니다. 이럴 경우 반드시 영상통화를 통해서 가족이나 지인이 맞는지 확인합니다.

 

변호사를 사칭하여 법적문제에 대해 수수료나 벌금을 요구하고 해결하지 않으면 법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는 전화를 받았다면 해당기관에 직접 문의하시거나 방문해보셔야 합니다.

 

신용카드 배송을 사칭하여 접근해서 앱 설치를 하라고 한다면 공식 어플 스토어에서만 다운로드하시고 문자 메시지의 링크는 절대 클릭하시면 안 됩니다.

 

집 앞에 택배가 와 있을 때 내가 주문한 게 아니라면 가만히 놔두시면 되고 주인을 찾아주겠다고 택배 박스에 나와있는 번호를 전화를 거시면 안 됩니다. 전화를 걸거나 택배박스의 QR 바코드로 접속하시면 한 순간에 개인 정보가 유출됩니다.

 

자동차에 내 휴대전화 번호를 적어 두거나 인터넷 거래에서 내 번호를 남기는 것도 위험합니다. 이럴 때는 안심번호등록이라는 것이 있는데 실제 휴대폰 번호 대신 임시번호로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통신사에 전화하시면 등록하실 수 있고 월 몇천 원의 이용요금이 부과됩니다. 

 

정부지원금을 빙자하여 개인정보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공식 금융기관의 고객센터에 직접 문의하셔야 합니다. 보이스 피싱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평소에 최신수법에 대한 정보를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